스타트업 인사이트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얻고 평가하는 방법 - Y Combinator

breadbro 2025. 3. 5. 10:53

https://www.youtube.com/watch?v=Th8JoIan4dg&list=PLQ-uHSnFig5M9fW16o2l35jrfdsxGknNB&index=3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는 아주 구체적이어야 하며, 시장성 측면에서 ‘흐르는 파도에 올라타야 한다’라고 합니다. 성장하는 시장에서 니치(Niche)한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구상할 것을 이야기하는데요. 내가 관심 있는 시장은 어떤 시장인가요? 해당 시장이 최근에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어떠한 방법론으로 해결해야겠다, 라는 솔루션에 대한 아이디어보다 그 시장이 무엇 때문에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아요.

 

생활체육시장.

 

2024년기준 체육 동호회 가입/활동률은 9.5%로 2022년 10.2%, 2023년은 11.3% 로 최근 3년간 대동소이 하다.

 

반면 생활체육 참여율은 2022년 61.2%, 2023년 62.4%, 2024년 기준 60.7%로 동호회에 가입하지 않고 혼자서 참여하는 생활체육의 참여율은 높은 것을 볼 수있다.

 

내가 관심 있는 시장은 혼자 참여하는 생활체육이 아닌 동호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동호회에 가입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시장이다.

 

시장의 변화 양상은 생활체육 종목마다 다를 듯 하다.

 

내가 지금 활동하고 있고 잘 알고 있는 생활체육 축구시장은

일반적으로는 친한 사람, 아는 사람끼리 알음알음 축구 팀을 만들어서 인터넷 카페를 통해서 상대팀을 구하고, 공공체육시설(대부분 축구) 혹은 민간체육시설(대부분 풋살)에 대관료를 내고 빌려서 경기를 진행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이 일일이 축구 팀을 찾고 경기장을 찾아 경기하기 힘든 문제가 있어 몇 년전에 플랩풋볼이라는 서비스가 출시됐는데

 

이 서비스는 플랩풋볼에서 전국 각지의 경기장을 연 단위로 빌려 웹/앱 플랫폼을 통해 축구를 하기 원하는 개별 참가자들에게 참가비를 받고 인원을 모아서 경기장에 있는 플랩풋볼 매니저의 가이드에 따라 축구 경기를 진행하게 된다. (주로 풋살)

 

주변에 같이 풋살 할 사람이 없는 사람이 1회성으로 운동할 때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인데, 지금은 어느정도 자리를 잡아 젊은 세대 축구인들은 대부분 해당 서비스를 인지하고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1회성 경기를 주로 다루고 있어 꾸준히 한 팀에서 축구를 하고 싶은 이용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지는 않고 

 

기성 축구팀들의 대한 관리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스타트업 아이디어 평가를 위한 주요 질문 중 첫 번째는 창업자-시장 적합성(Founder Market Fit) 여부라고 하는데요, 내가 하려고 하는, 혹은 하고 싶은 아이템이 속하는 시장에서 ‘나’는 그 시장을 정말 잘 알고 있나요? 그 시장의 문제를 잘 풀 수 있는 전문성이나 경이 있나요? 만약 아직 실현해보고 싶은 아이디어가 없다면, 나는 어떤 시장에 가장 잘 맞을까요? 어떤 시장의 문제를 풀기에 가장 적합할까요? 간단히, ‘나’라는 사람이 남들보다 가장 잘 알고 있는 분야는 무엇일지 생각해 봅시다. 굳이 거창하지 않아도 됩니다!

 

중학교때부터 축구를 즐겨왔고 그때부터 개인이 축구팀을 찾기 힘들고 경기할 팀을 찾기 어려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10년 넘게 지난 현재까지도 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플랩풋볼이란 서비스가 일부 해결해주고 있지만 여전히 해당 문제는 남아있다.

 

해당 문제 이외에도 아마추어 축구, 생활축구의 다양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내가 적합하다고 생각한다.